오늘은 돼지 목살이다.
바베큐로 해 먹는 것 중에 역시 최고는 목살이다. 왠만한 소고기 보다, 훈연의 맛과 잘 어울린다. 삼결살은 너무 기름이 많고, 딱딱해 져서 별로다. 목살이 최고다.
하지만 문제는…. 집에서 먹기엔 연기가 너무 많이 난다. 아마도 실내에서 먹는건 이번이 마지막일듯 ㅠㅠ
왕수용의 개인 블로그
이번 연휴 (10.1 – 10.3)에 강원도에 놀러 갔다가, 안흥에 들러서 찐빵을 사러 갔다.
근데, 마침 가는날이 장날이라고, 안흥 찐빵 대축제중이었다.
찐빵집 앞에는 이렇게 사람들이 장사진을…
줄은 길어 보이지 않지만, 하나 쪄 내는데 20분이 걸리고, 한번 쪄내도 보통 7-8박스밖에 안나오고, 한사람당 3박스씩 사가느라, 1시간 이상 대기를 했다. 안흥에는 몇 찐빵집이 있지만, 모두가 한산하고, 유독 이 집만 사람이 붐빈다. 역시 정보의 보편화 시대를 맞아, 아무도 원조를 헷갈리지 않는다.
쪄내는 통은 모두 6개, 한번 쪄내는 건 많아 보여도, 한박스에 20개씩 담아 팔기 때문에, 한통에서 20분 쪄내도 몇박스 안나온다.
여기가 앙코 만들어 내는 비밀 작업실…
한시간 넘게 인고의 대기를 거쳐 3박스 획득
가격은?
20개 한박스 8,000원. 25개 한박스 10,000원. 서울 물가로 생각하면 매우 저렴한 편.
맛은?
한시간씩 기다려서 먹을 만한지, 강원도 안흥까지 가서 먹을 맛인지, 택배까지 해서 먹을 맛인지는 의문. 그냥 백화점에서 파는 원조 아닌 안흥찐빵을 먹어도 그리 크게 억울하지는 않을 것 같다.
아마 꽤 되었을 것 같은데, 이번에 김포공항(국제선)에서 주차해 보고 감동의 물결이 몰려왔다. 바로 주차장 입구에 있는, 주차요금 정산 기계에서 내 차가 주차되어 있는 위치를 알려준다는 것.
차번호를 입력하면, 차 사진이 보인다.
선택을 하면 내가 있는 위치를 지도로 보여준다.
차 사진을 어떻게 보여주나 했더니, 모든 주차구역 맞은 편에 카메라가…
뭔가 돈이 많이 들어 보이긴 하지만, 꽤 편리한 건 사실이다. 하지만, 이렇게 편리한 시스템을 누릴 수 있는 사람은 몇명이나 될런지…
그리고, 또 한가지, 어짜피 주차장 입구에 들어갈때, 차 사진을 한방 찍고 시작한다. 그리고, 주차 티켓이 나온다. 이 주차 티켓이랑 이 시스템이랑 서로 통합이 안됐기 때문에, 주차 티켓만 넣어서는 이 정보가 보이지 않는다. 다시 검색에 들어가야 한다는 것이다. 역시나 가장 어려운 것은 시스템 간의 통합이다. (즉, 기존 업체간의 소통)
CGV iOS 앱을 구동시켜서, 비회원으로 로그인을 시도하면, 아래와 같이 주민번호 입력 란이 나온다. 친절하게도 주민등록번호 뒷자리는 어깨넘어로 누군가 보지 못하도록 잘 가려준다.
하지만 로그인 버튼을 누르는 순간. 뜨억.
뒷번호를 확인해서 물어본다. 그럴거면, 앞에서 왜 가려줬는지.
왜 이렇게 됐는지는 안봐도 보인다. 처음 앱을 기획한 사람은 잘 고심해서, 주민번호는 보호받아야 하는 데이타라고 생각해서, 위와 처음과 같이 기획했을 것이다. 하지만, 고객센터에 주민등록번호로 로그인이 안된다는 클레임이 끊임없이 왔을 테고, 개발자는 주민번호를 잘못넣었기 때문이라고 주장했을테고, 고객은 확인 못하기 때문에 문제가 풀리지 않으니, 에잇 하고 확인창을 넣어서 업데이트 하지 않았을까 추측해 본다.
맥에서 SFTP 나 다른 방법을 통해서, 파일을 옮기다 보면, 한글이 같은 유니코드 이지만, 풀어져 보이는 문제가 있다. 이거 상당히 골치 아픈 문제인데, 여기에 대한 해답을 나름 찾아봤다.
방법은 convmv 를 설치하는 것. apt-get 을 통해서 convmv 를 설치해 주고, 아래와 같은 명령을 통해서 변경 가능.
convmv --notest -nfc -f utf8 -t utf8 파일명
여기서 notest 옵션을 주지 않으면, mv 명령어만 보여주고, notest 옵션을 주면, 실제로 mv 명령이 실행된다.
NFC 의 경우, Normalization Form C 라고, 한글의 경우 자소를 모두 모아서 코드를 만들고, 유럽어의 경우 액센트 기호가 붙은 알파벳을 하나로 취급하며 주로 유닉스(리눅스)쪽에서 많이 쓰이고, 반면 NFD는 Normalization Form D로 한글 자로를 풀어서 각각 코드를 부여하며, Mac OS X 에서 사용한다. 위에서 –nfc 옵션을 주면, NFC 로 변환해 준다.
잠깐 문제가, 변환을 시도하면, 파일길이가 255자 넘는다면서 실행을 포기하는 현상이 발생하여, Perl 로 되어 있는 코드에서 해당 부분을 제거하니, 문제가 발생하지 않았다. (실제 mv 명령 실행에도 별 문제가 없었던 것으로 보아, 아마도 파일길이를 계산하는 부분에 문제가 있는 것으로 보인다.)
if (! $filenamelength) {
print STDERR "$opt_t doesn't cover all needed characters for: \"". &$from_print($dir.$oldfile) ."\"\n";
return undef;
# } elsif ($filenamelength < $maxfilenamelength) {
# print STDERR &$from_print($dir.$oldfile).": resulting filename is $filenamelength bytes long (max: $maxfilenamelength)\n";
# return undef;
}
&posix_check($new);
return 1;
변경전
변경후 (mp3는 bugs에서 구매한 정품)
사실 여전부터 이름은 익히 들었지만, 한번도 써 볼 생각을 안했는데, 요즘 쌓여가는 작은 크기의 동영상들을 폴더를 유지한채 인코딩을 스크립트로 자동화 할 수 없을까 계속 고민하며 ffmpeg 으로 삽질을 계속하던 중 (다른건 다 잘되는데, mov 파일이 안됨), 구글 검색으로 HandBrake 이름을 발견, 테스트를 했는데, 내가 원하는게 바로 있었다.
사실 HandBrake 도 결국 ffmpeg 의 껍데기인데, 내가 원하는 방식으로 껍데기를 만들어 놓았다.
내가 원하는 방식이란? 모든 동영상을 iPad 에 플레이 가능하도록 변환하기.
우분투에서 설치하는 건 매우 간단. http://handbrake.fr/downloads.php 페이지에서 다운로드 가능
변환도 매우 간다. https://trac.handbrake.fr/wiki/CLIGuide 페이지의 설명에 따라, 다음 한 줄 이면, iPad 용으로 뚝딱 변환.
HandBrakeCLI -i movie.mkv -o movie.mp4 --preset="iPad"
PhotoSync 앱은 아이폰에서 사진을 옮기기 위해서 자주 사용하는 앱이다. 아이튠즈를 통해서 싱크할 필요 없고, 아이포토나 애퍼쳐를 거치지 않고, 간단하게 찍은 사진 몇장을 옮길때 더 없이 편하다. (iCloud 이후 어떻게 바뀔지 모르겠지만)
다만, 요즘 우분투를 주로 사용하다 보니, 아이폰으로 사진을 찍고, 우분투에서 보고 편집하고 업로드하고 하는 일을 자주하게 되는데(아이폰에서 바로 Flickr 업로드도 가능하지만, 이게 생각보다 잘 안된다), 아이폰에서 사진을 가져올 방법이 없다. 더구나 PhotoSync 는 맥용 윈도우용 전용 어플리케이션이 있지만, 우분투용은 없다. 하지만, PhotoSync 앱을 유심히 들여다 보니, 하단에 접속 URL이 버젓이 있었다. 오히려 웹으로 접속하는게 훨씬 편하다고 느낄 정도.
첫 화면은 카메라롤, 포토라이브러리, 그리고 앨범 목록이 쭉 뜬다.
그리고, 카메라롤에 들어가면, 최근 사진 목록이 뜨는데, 여기서 선택하고 다운로드 하면, zip 파일로 묶어서 받을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