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폰 국내 출시에 즈음한 아이폰 초간단 사용기

역시 배터리는 문제가 되었다.
배터리는 애플의 기술의 문제가 아니라, 이전 피쳐폰에 비해서 자주 만지작 거리고 쓰기 때문에 빨리 소모되는 것처럼 느낀다고 강변하고 다녔지만, 나 자신부터 배터리가 신경 쓰이는 것은 어쩔수 없었다. 아이팟과는 달리 아이폰은 핸드폰이기 때문에 꺼져있으 면 안된다는 강박관념 때문에 베터리 수치에 계속 신경이 쓰였다. 지금도 이글을 아이폰에서 쓰고 있는데 완충상태에서 집에서 가지고 와서 간단한 통화 두통을 하고 게임 한번을 했는데 90% 가 남아 있다. 채 30분도 안됐는데 말이다. 편한 마음에 계속 방치해 두면 곧 전원이 꺼질 거란 생각이 머리를 떠나지 않는다.
하지만 지금까지 실제 방전이 되어서 곤란을 겪은 적은 없다. 대부분의 시간동안 사무실에 있어서 항상 충전중인 상태를 유지했고 차량으로 이동할 때에도 차량충전기로 충전하였다. 그러기에 이런 생활패턴에서는 왠만해서는 방전으로 곤란을 겪을 경우는 거의 없겠지만 항상 배터리가 맘에 걸리는 것만은 분명한 사실이다.
테더링은 완전 감동이다. 무선인터넷에 관심이 많아 3G모뎀부터 와이브로까지 usb 타입에서 expresscard를 거쳐 WIFI 공유방식인 에그에 이르기까지 다양하게 사용을 했지만 아이폰 테더링이 젤 좋은 것 같다. 일단 편리하기는 에그가 가장 좋았지만 키고 끄는 시간이 너무 오래걸려 왠만해서는 잘쓰지 않게 되지만 아이이폰은 테더링만 켜 놓으면 블루투스로 연결 하는 순간 바로 인터넷에 접속이 되어 버리니 이보다 편할 수 없다. 물론 에그의 와이브로 속도에 비할바는 아니지만 이동중에 쓰기엔 충분한 속도이다. 유튜브 동영상 감상도 가능한데 더 빨라서 뭐할까 USB를 이용한 테더링도 쓸만하다 블루투스에 비해 유선이라는 단점도 있지만 인터넷 사용중 충전도 된다는 장점이 좋다.
블루투스 이야기가 나와서 말인데 블루투스가 정말 쓸만하다 아이팟으로는 블루투스 헤드셋으로 음악감상이 아직은! 불가능하다.
조금 오래됐지만 문근영이 나와서 애니콜 블루투스 핸드폰 광고를 한 적이 있었다 두손에 커피를 들고 귀에는 블루투스 헤드셋을 하고 핸드폰에서 흘러나오는 음악을 감상하다가 전화가 오니깐 핸드폰에 손도 안대고 헤드셋을 어께로 툭 쳐서 통화를 한다는 내용이었다. 광고가 효과적으로 전달되지 못해서인지 블루투스는 뜨지못했다. 하지만, 아이폰을 쓰면서, 그 상황이 얼마나 편리한 상황인지 새삼느끼게 되었다.  나는 3년전부터 블루투스가 지원이 되는 핸드폰을 사용하고 있었고, 블루투스 헤드셋도 같이 쓸려고 해 왔지만, 뭔가 자연스럽지 않았다. 늘 불편하였다. 아마도 그래서 국내에서 블루투스가 활성화 되지 않았을까 추측도 해본다. 하지만, 아이폰은 다르다. 블루투스 사용에 관한 모든 사용흐름이 자연스럽고 편리하다. 정말 써봐야 알 수 있는 장점인 듯 하다.
아이챗 스타일의 SMS는 어찌보면 무서울 만큼 훌륭하다. 누구랑 언제 무슨 이야기를 주고 받았는지 살펴볼 수가 있다. 웹에서 공짜로 쓸 수 있는 SMS 발신 서비스가 있어도 잘 안하게 된다. 왜냐면, 다른 쪽에서 SMS를 발신하게 되면, 대화의 흐름이 기록되지 않기 때문이다. SMS, LMS, MMS 까지 모두 하나로 보는 것, 이제는 너무 당연하게 느끼는 것이기도 하지만, 너무 편리하다.
이런 점은, 사실 광고로 홍보될 수 있는 장점이 아니다. 오직 써봐야만 알 수 있는, 그리고 알고 나면 그 다음부터는 다시는 과거로 돌아갈 수 없는 그런 장점이다. 애플 아이폰의 장점은 대부분 이런 장점이라,신문기사나 홍보문구로 설명될 수 있는 그런 것이 아니다. 써보면서 느끼는 자연스러운 그런 장점들인 것 같다.
하지만, SMS는 아직 국내에서 사용하기에 문제점이 좀 있다.
가장 큰 문제는 80bytes 표시가 안된다는 것이다. 아무리 긴 문장도 무조건 쓸 수 있고, 80bytes 를 넘지 않으면 SMS로 보내지고, 넘게 되면 LMS로 자동으로 넘어가게 된다. 아이폰끼리는 전혀 상관없다. 오히려 편리하다. 길이의 제약없이 대화할 수 있으니깐. 하지만, 다른 핸드폰 사용자에게는 조금 무례다. 아무래도 SMS로 보내지 않고, LMS로 보내게 되면, 별로 좋아하지 않는 것은 현재 사실이기 때문이다.
스팸관리가 안된다. 매일 밤 6시부터 10시까지는 SMS를 아예 보지도 않는다. 왜냐면 엄청난 대리운전 광고가 오기 때문이다. 이전 핸드폰에서는 “대리”라는 문자를 걸러서 SMS를 보지 않았지만, 이 기능이 없다는 것은 치명적 문제점이기도 하다. (아이폰을 해킹을 해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고 하나, 이건 별도의 문제)
또다른 한국 실정에 맞지 않는 것이, 사용양 표시에서 Call Time 인데, 수신 통화량과 발신 통화량이 구분되지 않는다. 한국에서는 과금과 관련된 것은 오직 발신통화 뿐이라서, 민감한 것은 발신 통화일텐데 구분해서 볼 방법이 없다. 무조건 합산해서 나온다.
전화번호 검색도 기존 핸드폰에 비하면 많이 불편하다. 전화번호 일부분으로 검색한다던지, anycall 에서는 이름의 자음만으로 검색한다던지, 손쉽고 간단하게 접근이 가능하지만, 아이폰에서는 이런 기능은 찾아보기 힘들다. 아주 정직한 방법만 존재한다. 이것 뿐만 아니고, 한국 핸드폰 내의 온갖 잡다한 자잘한 기능들이 아쉬울 때가 많다.
앱스토어도 문제다. 나는 온갖방법을 동원해서 미국 주소를 통해서, 미국 iTunes Store 의 계정을 가지고 있어서, 전혀 생각을 못했다. 하지만, 주변 친구에게 아이폰을 개통시켜주고, iTS 계정을 만들고, 앱스토어를 이용하는 순간, 아뿔사… 게임이 없다. 받을 만한거라고는 한국에서 만든 고스톱 몇개 뿐…. 말로만 전해듣던, 그 화려한 3D 게임은 말그대로 남의 나라 이야기이다. 그렇다고, 해외계정을 만들라고 하는 것은, 보통사람에게 쉽게 권한 만한 내용은 아니다. 분명 이것도 큰 문제로 부각될 듯하다. 앱스토어 계정을 만드는 일 자체도 그렇게 쉽지 않았다. 완전히 한글화 되지 않은 인터페이스 부터 시작해서, 무언가 부자연스럽고 부담스럽다. 몇몇 지인에게도 아이튠 스토어 계정을 만들어야 앱스토어에서 다운 받을 수 있다고 하니, 그냥 됐다고 한다. 아이폰 장점의 절반은 앱스토어에서 오는데 앱스토어를 써보지도 않으려 하다니…. 아마도 아이폰 흥행의 큰 장애물 중에 하나임은 틀림없다.
한국 실정과 무관하게 그냥 전화기능도 조금 아쉬움이 남는 부분이 많다. 사진은 왜 이렇게도 작게 나오는지… 나갈이 문자보다는 그림으로 봐야 인지가 되는 민첩하지 못한 사람에게는 참 아쉬움이 많이 남는 부분이다. 전화가 올 때에도 그 사람의 사진은 손톱만한 크기로 나온다. 왠만한 시력으로는 잘 보이지도 않는다. 사용성에 대한 고민이 많이 떨어지는 부분으로 보인다. 역시 애플은 핸드폰을 만들던 회사는 아니야 라는 생각이 절로 들게 한다.
아이폰 도입과 관련하여 신문과 인터넷을 통해서 또 새삼 많은 것을 보고 느끼게 한다. 어짜피 아이폰은 그냥 핸드폰, 아니 그냥 핸드폰이라기 보다는 조금 재밌는 장난감인데, 아이폰이 얼마나 재밌는지 별론지 그런것 보다는, 마치 스포츠 응원하듯 삼성과 애플의 대결구도로 보고, 자기편을 찾는 다던지, 아니면 드라마 보듯이 각 회사나 인물에 대한 캐릭터를 설정하고 맘에 드는 설정인물을 편든다던지 어찌 좀 그러하다. 한국 IT 산업의 미래와 고민을 두 어깨에 짊어지지 말고, 그냥 가볍게 허리우드 영화 한편 본다는 생각으로 아이폰을 접하면 어떨까 하는 생각도 든다.

Open Car

오픈카는 소위 말하는 convertible 혹은 cabriolet 라고 불리우는 뚜껑열린 차 이야기는 아니다.
Open Web 에서 말하는 Open 의 의미에 더 가까울 것이고, Open Architecture 정도가 될 듯 하다.
요즘 번뜩 드는 생각은, 자동차 업계의 후발주자가 있으면 시장의 규칙을 바꾸어서, Open Car 정책을 펼쳐보는 것이 어떨까하는 생각이 든다. 물론 어떤 기업도 이런 극단적 선택을 할 수 없음을 잘 알기에 그냥 공상일 뿐이다.
생각의 시작은 네이게이션 혹은 오디오 때문이다.
내가 이전에 타던 차는 2000년도에 구입하였는데, 당시에는 꽤 비싼 금액에, 차량용 네비게이션을 장착했다. 사실 필요에 의해서라기 보다는, 에어백과 동일한 옵션에 들어있었기 때문에, 강매된 것이었고, 이는 곧 시정조치에 들어갔지만, 내가 살 당시에는 어쩔 수 없이 같이 구매하였다. 비싼 돈을 주고 샀기에 어떻게 하든 이용을 해 볼려고 했는데, 수신 감도가 떨어져서 인지 거의 무용지물이었고, 내 생각에는 차량용 네비게이션이라는 것 자체가 아직 현실적으로 기술적으로 무리구나 라고 생각했다.
하지만, 2,3년이 흐르고, 차량용 네비게이션 붐이 일었다. 저렴하고 좋은 모델이 많이 나왔다. 내가 옵션으로 살 때에는 250만원 정도 책정되었는데,  80만원 정도면 좋은 네비게이션을 별도 장착이 가능해 졌다. 150만원 정도면, 소위 말하는 매립형으로 장착이 가능했다. 더 문제는 성능이 비교가 안되게 좋다는 점이다. 네비게이션도 일종의 컴퓨터와 같은 것이라 그 발전의 속도가 눈부셨다. 최근에는 차량용 블랙박스까지 등장했는데, 기본 옵션 제품이 도저히 따라 갈 수가 없다. 차량은 10년을 쓰는데, 첨단 기기는 1년도 길다하고 발전하니, 속도가 맞지 않는다.
오디오도 문제였다. 2000년 당시 6개의 CD 체인저가 들어가는 최첨단 방식에 Video-CD 포맷을 지원하여 영상을 볼 수 있었다. 또한 달리면서 TV도 시청이 가능하니 당시로서는 정말 풀옵션이었다. 하지만, Video-CD 포맷은 금새 잊혀졌고, DVD 가 당연한 것이 되었고, TV는 DMB로 대체되었다. 2009년 현재 달리는 차에서 공중파 TV 시청을 하는 사람이 있기나 할까? (DMB가 가능한 서울, 경기 지역 기준으로…) 오디오는 CD 보다는 MP3 가 필수인데, CD 라니… 차라리 그래서 요즘은 AUX 단자가 달린 차량이 최고라는 생각이 든다. 달리 말하면, 차량에 장착된 것은 엠프와 스피커만 남고 나머지는 다 필요없다는 뜻이다.
이러한 시행착오는 아직 많은 사람의 공감을 사거나 대중적인 것 같지는 않다. 나름 얼리어댑터라는 사람이 겪고 있는 문제 일 듯 하다. 하지만, 시간이 지날수록 문제는 일반화 될 것으로 보이고, 문제에 대한 해결 방식은 차량 자체를 자주 바꾸는 것 말고는 방법이 없어 보인다. 아님 어쩌면, 조만간 차량용 오디오, 네비게이션 옵션에 대한 무용론이 생기지 않을까? 깡통차를 구입하고, 사제로 완전 다시 개조를 하는 것이 유행처럼 번지지 않을까?
나와 같이 웹이나 프로그래밍쪽에 관심을 가진 사람이면 이런 문제에 대한 답을 쉽게 알고 있다. 바로 오픈 아키텍쳐이다. 이쪽이 워낙 변화에 최첨단에 서 있기 때문에, 가장 혹독히 이 문제와 시름했을 것이고, 그래서 내린 결론일지도 모르겠다. 즉, 서로가 서로를 알아볼 수 있도록 규약만 만들어 주면, 끊임없는 아이디어가 서로 연결 될 수 있다는 것인데, 이에 대한 효용성은 이미 매일같이 웹에서 확인하고 있다.
차량에 대한 오픈 아키텍쳐가 있으면 어떨까? 자동차 회사는 자동차만 만드는 것이다. 주행과 안전성에 관한 것만 신경을 쓰고, 전자장치와 부가기기에 대한 신경을 끄는 것은 어떨까? 따라서, 자동차 회사는 깡통 차만 만들고, 차량의 성능과 무관한 오디오, 네비게이션 장치, 좌석 시트, 대시보드 기기, 조작패널 등등을 오픈 아키텍쳐 형식으로 개방하고, 별도 구매와 장착이 편리하도록 하면 어떨까 한다.
아마도, 현실은 이런 생각이 몽상뿐이라는 많은 증거를 가지고 있을 것이다. 즉, 자동차 회사의 대차대조표와 맞지 않는 발상일지 모른다. 하지만, 정답은 항상 소비자가 원하는 데에 있다. 소비자가 원하는 결론을 기업이 스스로 대차대조표에 맞도록 하는 작업을 하는 것이 바로 그들이 해야 할 일인 것이다. 자동차는 많지 않은 회사가 치열하게 경쟁하는 곳인듯 하다. 이런 시장에서는 이런 몽상이 별나라 이야기로 오랜 기간 치부되다가도, 어느날 하루에 갑자기 평범한 일상의 이야기로 바뀌는 것을 가끔 발견되는 적도 있었다.

애플이 위대한 것은…

애플이 위대한 것은 애플에 있는 뛰어난 개발자 때문은 아닌듯 하다.
개발에 오랜 기간 몸담고 있다 보면, 느끼는 거지만, 개발에 있어서 불가능은 없다는 생각이 든다. 다만 기간이 오래 걸린다던지, 많은 사람이 필요하다던지, 심지어는 더 많은 돈이 필요하다던지 모두 “선택”의 문제로 귀결된다.
즉, 개발의 결과가 “언제” 필요한 것인지, 개발의 결과를 “누가” 사용할 것인지 등등 결정을 먼저 하고나면, 어떻게 개발을 해야 하는지는 자연스럽게 도출이 된다. 그리고 이러한 선택을 해 주는 사람이 바로 의사결정권자이다. 이러한 선택이 끝나고 나면, 개발 과정은 예측 가능한 노력으로 환산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예측은 거의 빗나가는 경우가 드물어 보인다. 즉 문제는 의사결정권자의 선택의 과정이지 그 이후의 개발의 과정은 아니라는 것이다.
애플이 위대한 점은 이러한 “선택”의 과정이 훌륭하다는 것이다. 개발과정에서는 그 어떠한 기적도 찾아볼 수 없다는 점이다.
사랑스럽지 않은 대부분의 회사의 특징은 이러한 “선택”의 과정은 소홀히 (대부분의 경우 아예 없어 보인다) 하고, 개발의 과정에서 기적만을 기다리는 것(아니면 가짜로 기적이 있었던 척)이 아닌가 하는 추측이 든다.
선택이란 하나를 가지는 것을 말하지만, 다시 말하면 다른 하나를 버리는 과정이기도 하다. 빠른 결과를 선택했을 때에는 빈약한 내용을 선택하는 셈이고, 풍부한 기능을 선택했을 때에는 많은 비용또한 선택한 셈이다. 양극단 사이에서의 선택이 아니라, 개발의 결과가 “언제” 필요한지, “누가” 필요로 한지에 대한 정확하고 확실한 믿음 아래에서 이루어 지는 적절한 배합이 바로 훌륭한 선택이라는 것이다.
A와 B와 C의 장점을 모두 모아서 만들면, 또다른 D가 되는 것이지, A,B,C를 모두 능가하는 Super ABC가 되지 않는 다는 것을 의외로 간과하는 분들이 적지 않아 보인다.

Google Docs

Google Docs 가 Microsoft Office 보다, iWorks 보다 더 쾌적하고 사용성이 좋다.
적어도 맥에서는….
음…. 다시 말하면,
가볍고, 간단하게 Spreadsheet 혹은 Wordprocessor 를 쓰고 싶을 땐, Google Docs 가 최선이라는 것.
적어도 맥에서는…
Google Docs때문에 기뻐해야 할지, 우울해야 할지 난감하다.